3.시제의 유의점(1)
-논문의 시제가 문제가 되는 이유.
저자가 문헌을 조사 분석하는 시점, 실험을 계획하고 실시하는 시점, 결과의 분석과 논문을 저술하는 시점, 독자가 읽게 되는 시점이 각각 다르게 되기 때문
독자는 논문을 일단 순서대로 읽을 것이므로 후술하려는 사항을 언급할 때에는 미래형, 앞의 내용에 관한 것이면 과거형, 도표나 그림 등 독자가 그 시점에서 참조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경우 현재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3.시제의 유의점(2)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영어논문의 시제
1) 관련분야 문헌이나 연구의 소개 : 현재완료형, 과거형
Section 2 outlined the experimental technique adopted in this work.
2) 연구목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경 설명 : 현재형, 현재완료형
Most past studies related to this work have been conducted on laboratory hydraulic conductivity test.
3) 연구목적 : 현재형, 현재완료형, 과거형(논문작성시점에서 과거)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sensitivity of the engineering parameters on the settlement of the ground.
4) 표, 그림의 설명 : 현재형
strong exothermic peaks are seen in the thermogram shown in Fig 1
5) 실험결과 : 과거형이 주, 경우에 따라 현재완료, 과거완료
The velocity was derived by dividing the distance between the observation points with the time
6) 결과의 설명, 결론 : 현재형, 과거형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7) 향후 나타날 사항 : 미래형 조동사(will shall)
In the next chapter, we will show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present research
The above solution shall be utilized in the next chapter.
<will과 shall의 구분>
will : 객관적인 예정을 기술하는 경우
shall : 저자 자신의 의도가 담겨진 기술을 할 때
would : 객관적인 사실의 단순한 추정 (저자의 판단 포함)
Such complicated calculations would not be needed if the present method is used
should : 필연성의 주장이 내포되는 경우(저자의 판단 포함)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Eq.(5) can be obtained also by expanding Eq.(3)
4.논문의 주요구성요소 결정시 유의점
4.1 제목(title)
-간결하면서 내용의 핵심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어휘.
-단어의 첫 문자는 모두 대문자(관사, 접속사, 전치사 제외)
-같은 제목의 논문은 로마숫자 I II III로 분류(부제가능)
-간결함을 위하여 관사 생략 가능
4.2초록(abstract)
-목적
주제, 목적, 수행방법, 결과를 간결하게 기술하여 독자가 관심이 있거나 필요한 내용인지를 파악하게 하는 것
-주의 사항
추상적인 표현을 피하고 중요한 수치는 분명히 표시
지면을 줄이기 위하여 현재완료 과거완료형은 피하고 과거형, 현재형으로 표현
문단을 구분하지 않고 서술 가능
4.3 중심어(keywords)
-목적 : 인터넷을 통한 논문 검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표시
-요구사항 : 내용의 핵심과 내용을 짐작할 수 있는 중요단어를 선택
4.4본문 (Text)
-3~5개의 장 또는 절 로 나누어 쓴다.( 서론,본론,결론)
-제목은 모두 대문자로 시작한다.
-긴장이나 절은 소절(subsection)로 나눈다(숫자로 구별)
-소절의 소제목을 붙인다.
-소절을 항으로 나눌 때는 1,2 등으로 구분한다.
4.5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집마다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투고하는 논문지의 양식에 맞춘다
-모든 참고문헌은 본문에서 반드시 참조되어야 한다.
참조는 하지 않았지만 중요하다는 생각으로 참고문헌에 넣어서는 안된다.
4.6 부록 (appendix)
-본문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사항으로 본문에 넣으면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자료 등은 부록으로 처리.
ex) 중요한 결과 식에대한 증명. 전문 연구자에게 도움이 될 만한 자료 등
-부록이 둘 이상 : Appendix A, Appendix B ...
-수식 번호 : (A-1), (b-1) ...
-본문에서 인용할 때는 영문 학술지 : Eq.(A-1), Eq(B-1), 국문 학술지 : 식(A-1), 식(B-1).
'University > 공학보고서 작성 및 발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구두 발표법 (0) | 2015.10.15 |
---|---|
영어논문 작성법 (0) | 2015.10.15 |
자료점검 단계 (0) | 2015.10.15 |
발표 제작 (0) | 2015.10.15 |
국어 구두 발표방법 (0) | 2015.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