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과학기술과 철학

과학과 기술문화 교류 과학기술문화-과학기술문화란? 과학기술에 바탕을 둔 문화를 말한다.-과학기술에 바탕을 두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과학적 사고와 방법,과학적태도와 지향, 과학적 합리성에 기반을 둔 문화를 뜻한다.-서양의 과학을 받아들이고, 독자적인 과학연구의 성과를 갖기 시작한 지 이미 상당한 시간이 경과 아직도 자연과학과 기술은 우리의 문화전통에 토착화 되었다고 보기 어려움 과학기술문화적 태도-1)자연현상 혹은 그에 준하는 현상에 대한 설명과 예측에 있어서는 철저히 과학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2) 세계를 과학적으로 인식해야 할 맥락에서, 자연과 초자연 구분, 그 대상을 자연현상으로 엄격히 제한, 오직 자연계 내에서의 인과법칙 추구, 이론과 관찰적 증거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따지려는 태도 공유-3)우리 사회를 과학적.. 더보기
다윈의 진화론 다윈의 진화론 다윈혁명-진화의 개념을 통하지 않고는 생물학의 그 무엇도 의미가 없다.(도브잔스키,1973)-다윈의 1830년 비글호 여행,갈라파고스섬에서의 관찰이 토대-생물학 뿐만 아니라, 철학,사회학,경제학,인류학,심리학,법학 등 인문사회과학은 물론 음악,미술 등의 예술 분야에까지 광범위한 영향 - 다윈의 혁명이라고 일컬음-현대인의 사고체계에 기본틀 제공-진화론만큼 오해가 많은 이론도 없음 : 어처구니 없는 창조론의 공격-현대 진화론은 그 자체로서 진화의 산물 : 1930-40년대에 진화적 종합,1960-70년대 유전자의 관점으로 재무장 다윈의 1)유기체들은 시간을 통해서 꾸준히 진화한다.(진화론)2)상이한 종류의 유기체들은 공통조상으로부터 내려온다.(공통유래 이론)3)종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증가한다... 더보기
생물학의 철학 생물학의 철학 (물리주의,생기론,유기체주의) 생명의 문제-생물학의 목표는'생명'이라고 불리는 어떤 실체의 본성을 해명하는 것-생명이 어떤 실체나 힘이라고 생각-철학자와 생물학자는 생명물질 또는 생기력(vital force)을 찾으려 노력하였지만 아무 소득이 없었음-생명이란 무엇인가,ㅅ애명과정을 어떻게 설명할것인가는 16c 이래 논쟁거리-죽어서는 개체들의 생명없음과 대비되는 것으로서의 생명 기계론-살아있는 생명체가 죽은 물질과 다르지 않다는 주장-형이상학적 생명요소는 없으며, 분자수준에서는 생명이 물리화학의 원리에 따라서 설명가능-생명과정은 기계적이며 물리학과 화학의 법칙으로 환원가능-생명에 관한 마술적 사유의 대부분을 붕괴시킴 vs생기론-생명체란 불활성 물질에서는 발견될 수 없는 성질을 가짐-생물학의 이.. 더보기
과학이론의 존재론적 성격 과학이론의 존재론적 성격1 학습의 목표와 내용학습목표 : -과학이론은 무엇인가를 이해한다.-존재에 관한 두 입장인 실재론과 관념론을 이해한다.-과학에 관한 존재론적 해성의 두 입장인 과학적 실재론과 도구주의가 어떻게 다른가를 이해한다. 학습의 내용-존재론의 두 입장인 실재론과 관념론을 집약-과학에서의 이론적 대상을 해석하는 두 입장인 과학적 실재론과 도구주의를 역사적으로 소개-과학적 실재론의 함의를 이해 과학에 관한 존재론적 연구-인식론적 연구 : 과학의 객관성, 합리성의 문제-존재론적 연구 : 과학에서 이론적 대상의 존재-존재론 : 존재에 관한 이론-(On(=being)>> Ontology-세상에 무엇이 있는가?-무엇이 진실로 존재하는가?-사물의 진정한 본질이 무엇인가?-사물의 존재는 우리 인식 주관으.. 더보기
과학의 합리성2 과학의 합리성2 과학의 합리적 이미지에 대한 도전-1960년 이후 쿤(T.Kuhn),페이어아벤트(P.Feyerabend),핸슨,툴민 등 새로운 과학철학자들의 공격-과학에 대한 정태적,논리적,방법론적 분석 거부, 동태적 분석시도 : 과학사에 대한 조회-새로운 과학관,새로운 과학상을 모색-과학 방법론에 입각한 과학의 합리적 이미지는 과학의 실제적인 모습과 일치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정당화할 수 없는 가정을 담고 있다는 것.-과학사에 나타나는 과학적 작업을 실례로, 과학이 갖는 비논리적인 측면을 드러내고, 논리적 자체는 과학적 지식의 본성,지식의 발전의 본질을 규명하는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하다는 것을 지적-과학의 합리적 이미지에 대한 재고를 요청 전통적 과학관의 응수-전통적 과학철학은 새로운 과학관이 과학.. 더보기
과학의 합리성1 과학의 합리성 1 전통적 과학상-과학과 과학자 집단에 대해서 갖는 이미지는 무엇보다도 그것이 합리적이란 것-올바른목표 : 과학적 탐구가 어떤 가치있는 목표를 지향-수단으로서의 방법 : 목표에 다가가도록 이끌어주는 합리적인 수단으로서의 방법1)방법은 과학자들이 새로운 이론을 발견하는데 도움이 되는 발견의 논리를 포함2)경쟁하는 이론들을 객관적으로 비교하고 평가하기 위한 테크닉 제공3)발견된 이론들을 정당화하는 논리 제시-정당화되는 방법론 : 방법론은 그 자체가 논리적으로 정당화 가능-과학자들은 이 방법을 감정에 좌우되지 않고, 이해관계에 치우침없이 적용시켜 과학을 성장 전통적 과학상의 배경-과학의 우월한 성취,과학적 지식의 성장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어떤 특권적인 방법이 있고, 그 방법을 공평무사하게 적용하.. 더보기
토마스 쿤 학습의 목표와 내용-학습목표 : 토머스 쿤의 패러다임 개념을 이해 과학혁명이 어떻게 일어나는가를 이해 쿤의 패러다임 이론이 야기한 과학관의 변화를 이해-학습 내용: 토머스 쿤에 대한 소개 쿤의 패러다임 이론에 대한 소개 패러다임 이론에 입각한 과학혁명의 이해 새로운 과학의 이미지 요약 토머스 쿤(Thomas Kuhn)의 삶-1922.7.18 미국 신시내티 유대인 가정 맏아들로 태어남-하버드 대학 물리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박사과정 재학시 제임스 코넌트 하버드대학 총장과 만남-과학을 이해하는 인문교양인 양성,냉전체제 아래 과학의 국제경쟁력 향상을 위한 코넌트 프로젝트 참가-1948 하버드에서 물리학 박사학위 취득-1958-56 하버드 대학 과학사 조교-1956-1962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 철학과 사학과.. 더보기
이론이 적재된 관찰 이론이 적재된 관찰1 새로운 과학철학의 등장-1960년대에 새로운 과학철학 등장-소박한 귀납주의 비판-토머스 쿤(Thomas Kuhn)1962-페이어아벤트(P.Feyerabend),-헨슨-현대 과학철학자들은 관찰과 관찰진술이 가지고 있는 이론-적재적 성격을 강조 소박한 귀납주의 비판-개인의 지각 경험은 관찰되는 대상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서만 객관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님-상당한 정도로 관찰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기대와 관점, 이론적 배경의 영향을 받음-이론과 사실은 하나의 덩어리로 혼합ㅂ되어 있음-그 덩어리들은 서로 통약불가능하다는 것-과학사에서 혁명기에 해당하는 시기에 경쟁하는 이론들을 비교하기 위한 중립적인 사실이나 관찰은 존재하지 않음 '관찰의 이론-적재성테제'-두 가지 논변 첫째 우리는 어떤 대상.. 더보기
과학적 논증과 방법 과학적 논증과 방법 논증(Argument)-논증은 결론(주장)이 되는 진술과 그것을 입증하는 증거(전제)로 제시된 진술들로 이루어진 일군의 진술들-논증은 추리의 결과-논증과 추리 사이에는 밀접한 평행관계가 있음. 둘 다 증거와 결론이 있음.1)논증의 결론은 진술, 추리의 결론은 믿음2)추리는 심리적 활동 : 추리는 증거가 되는 믿음을 근거로 하여 결론으로서의 믿음에 도달.3)추리가 진술되면 그것이 논증 -어떤 논증이 그 결론에 대한 정당화를 시도한다면 두 가지의 문제가 제기됨1)그 전제들은 옳은가(건전성)(비판적 사고의 대상)2)그 전제들은 결론과 올바르게 관련되어 있는가?(타당성)(논리학의 대상) -논증의 올바름과 전제들의 진리성은 완전히 독립적임. 과학적 논증의 종류-전제와 결론 사이에 성립되어 있다.. 더보기
과학과 과학이 아닌 것의 구분 과학과 과학 아닌 것의 구분1 -천문학은 과학, 점성술은 과학x-화학은 과학, 연금술 과학x진화론 과학 창조론 과학x정신분석은 과학?초심리학은 과학? -초심리학은 과학인가?-점신감응,천리안과 같은 초 자연적인 심리현상을 ㄹ다루는 활동초감각 지각,심령의 염동작용과 같은 초능력에 대한 연구초감각적 지각이란 텔레파시,투시력,전지각 등의 현상 -과학성의 기준-과학을 특징짓는 과학성이란 무엇인가? 기준!과학의 본성(그 범위,방법 그리고 목적)에 대한 논쟁과학을 특징짓는 것이 방법이라면, 과학적 방법의 참된 기준은 무엇인가?과학적 지식이 갖추어야 할 조건은 무엇인가?과학은 신화, 예술, 문학, 종교, 정치, 철학과 어떻게 다른가?과학에 대한 어떠한 논의도 과학의 범위를 한정하는 일로부터 시작됨과학과 과학 아닌 것을..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