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niversity /과학기술과 철학

이론이 적재된 관찰

반응형

이론이 적재된 관찰1


새로운 과학철학의 등장

-1960년대에 새로운 과학철학 등장

-소박한 귀납주의 비판

-토머스 쿤(Thomas Kuhn)<과학혁명의 구조>1962

-페이어아벤트(P.Feyerabend),<방법에의도전>

-헨슨

-현대 과학철학자들은 관찰과 관찰진술이 가지고 있는 이론-적재적 성격을 강조


소박한 귀납주의 비판

-개인의 지각 경험은 관찰되는 대상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서만 객관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님

-상당한 정도로 관찰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기대와 관점, 이론적 배경의 영향을 받음

-이론과 사실은 하나의 덩어리로 혼합ㅂ되어 있음

-그 덩어리들은 서로 통약불가능하다는 것

-과학사에서 혁명기에 해당하는 시기에 경쟁하는 이론들을 비교하기 위한 중립적인 사실이나 관찰은 존재하지 않음


'관찰의 이론-적재성테제'

-두 가지 논변


첫째 우리는 어떤 대상을 그저 보는것(seeing)이 아니라 "무엇으로 본다"(seeing as)

-우리가 어떤 대상을 볼 때 관찰자로서 갖게 되는 경험은 광선의 형태로 관찰자의 눈 속에 들어온

 정보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도 아니고, 관찰자의 망막에 맺힌 상에 의해 결정되지도 않음

-관찰자가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대상을 볼 때, 각각의 망막에 맺힌 상은 같을 수 있어도

 그들이 동일한 시각 경험을 필연적으로 갖게 되는 것은 아님

-ex)마이클 폴라니,X*레이 사진을 보고 진단을 내리는 훈련을 받는 의학도의 지각 경험의 변화 설명

-관찰자가 보는 것, 주관적인 경험은 망막에 맺힌 상에 의해 결정되지 않음

-관찰자의 경험,지식,기대,문화적 배경에 의해 결정됨.

-관찰 혹은 지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관찰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이론에 의해 결정

-동일한 대상을 보고 이를 다르게 해석한다는것을 의미하는것이 아니라 애초에 달리 본다는 것


둘째, 관찰된 사실을 기록하는 관찰진술이 이론에 의존한다는 것

-관찰진술은 어떤 이론의 언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것이 의존하는 이론적 혹은 개념적인 틀이 정확할수록 더욱 정확하게 됨

-물리학에서 사용하는 "힘"이라는 개념이 정확한것은 그것이 뉴턴 역학에서 차지하는 역학에 의해 그 의미를 얻기때문.


관찰에 대한 새로운 이해

-관찰의 이론-적재성 테제에 의거해 갈릴레오 사례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가능

-갈릴레오 사례와 같이 관찰의 불일치를 잘 설명

-우리가 관찰의 이론-적재성을 받아들이면 갈릴레오가 본 것을 당시 다른 과학자들이 볼 수 없었던 것을 이해할 수 있음

 갈릴레오는 코페르니쿠스의 태양중심체계를 중심으로 관찰,다른 과학자들은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중심체계를 신봉

 따라서 갈릴레오가 관찰한 목성의 위성들을 다른 과학자들은 볼 수 없었음


갈릴레오가 봉착한 문제 상황

-첫째, 갈릴레오는 천상의 물체들을 망원경으로 관찰한 것이 사실과 일친한다는 것을 설득할만한 광학 이론을 가지고있지 못함.

-둘째, 감각은 통상적인 조건 아래서 주의깊게 사용될 때 세계에 대한 신뢰할 만한 정보를 필연적으로 제공해준다는 당시 철학적 입장을 논파하기 어려움

-셋째, 당시의 망원경은 여러가지 결함이 있어 천체현상에 대한 만족스러운 보고를 제공하기 어려움

따라서 갈릴레오는 시각이론,광학이론,그의 주장을 뒷받침할만큼 충분히 정확한 망원경도 갖고있지 못하여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을 지지한다는 것을 설득하기 어려움


그러나 그러한 관찰적 불일치와 이를 둘러싼 난점들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새로운 현상의 실재성이 받아들여지고, 코페르니쿠스의 이론이 지지되는 수수께끼같은 발전 진행

그렇다면 과학자들 사이에 의견의 일치가 회복되고 관찰의 일치가 확인되어 가는 놀라운 변화는 어디서???

반응형

'University > 과학기술과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의 합리성1  (0) 2015.10.15
토마스 쿤  (0) 2015.10.15
과학적 논증과 방법  (0) 2015.10.15
과학과 과학이 아닌 것의 구분  (0) 2015.10.15
과학과기술에 대한 전통적 관념  (0) 2015.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