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niversity /과학기술과 철학

과학과기술에 대한 전통적 관념

반응형

과학과기술에 대한 전통적 관념


기술에 대한 전통적 관념

-기초과학,응용과학,기술의 엄격한 구분

-이것들은 자연을 대하는 태도와 방식에서 각기 다른 양상

ex) 기초과학자와 응용과학자는 본질적으로 "발견자" , 기술자는 인공적 시스템과 과정의 "발명가"

-마리오 붕게

 기술지식은 과학의 응용: " 기술은 응용과학이다."

 과학이 기술에 미치는 영향은 이론적이고 근본적, 기술이 과학에 미치는 영향은 기기의 제공과 같은 부차적인 것


과학과 기술의 근본적 차이

-대상의 차이 : '과학(과학자)'는 자연을 다루고, '기술(기술자)'는 인공을 다룸, 과학의 법칙은 보편적, 미래예측적, 

      기술의 규칙은 구체적, 처방적

-동기의 차이 : '과학'의 동기는 지적 호기심, '기술'의 동기는 실질적 유용성

-과정의 차이 : 과학은 가설연역적으로 검증의 과정을 거침

      기술은 가설을 응용, 실현시키는 과정 중시

-목적의 차이 : 과학활동은 자연을 이해,설명하는것 목표ㅡ 기술활동은 인공물을 만들고 개량하는데 목표를 둠


기초과학(Basic Science)

-과학 기술 가운데 순수한 지식,진리 그 자체를 추구하는 부분

-물리학 화학,생물학,지구과학 ....

-수학자,생물학자,물리학자 등은 실천적 유용성 보다는 지식 그 자체를 추구.

-유용성을 갖는 결과 보다는 새로운 자연의 법칙,새로운 설명 양식을 추구

-자연을 지배하기 보다는 자연을 이해하고자 함.

-구성원의 목표(법칙의 발견,가설의 체계화,법칙의 개선),연구 대상으로서 도메인,과학적 문제, 법칙 및 이론,

 배경지식(잘 확립된 데이터, 가설,연구방법)연구자 공동체, 연구활동을 지원하고 관용하는 사회, 자연에 관한 철학적 관점(자연관,존재론,인식론)

 연구자들의 에토스(어떤 과학자들이 어떤 문제에대해 느끼는 공통된 감각,정서,가치관 



응용과학(Applied Science)

-잠재적인 실제적 효과를 가진 지식 추구

-재료과학,응용과학,생의 물리학,의학,식품과학,약물학,범죄학,교육학 ...

-기계의 설계,제작물제작에 관심갖지 않음,

-대상의 범위 한정 : 심리학 일반적인 심리상태 연구,응용심리학은 장애인에 있어서 언어발달의 문제 등으로 범위를 좁힘.

-실제적 가치를 염두 : 자연재해를 가져올 가능성이 큼.

-응용과학자가 환경파괴를 초래할 어떤 제작물 혹은 과정의 디자인에 필요한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제공, 따라서 그 본성 상 중립적일 수 없음


기술(Technology)

-응용과학 연구에서 획득한 성과에 바탕 인공적인 사물, 혹은 과정 디자인

 토목,전기,핵,물리,화학,공업화학,유전,의료(과학),정보과학,컴퓨터과학,인공지능 기술 등등..

-기술의 핵심은 발견이 아니고 디 자 인 ! !

-자연의 과정 혹은 사회적 과정을 통제,지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어떤 것을 발명


-기술자를 채용한 고용주의 이익에 기여

 가치판단의 체계가 포함됨: ex)박테리아는 프로테인p를 합성하는데 효과적, 프로테인p는 질병 d의 치료에 효과적, 질병d를 치료하는 것은 

                           사회,기업을 위해 바람직 하다 판단

-기술적 효용성 및 비용의 효용성 판단.


기술의 전통적 관념

-과학 : 지식,이론,정신노동의 산물

-기술 : 물건,실천,육체노동의 산물

기술은 과학의 응용 - ex)전기기술은 맥스웰 전자기 이론의 응용, 화학기술은 화학의 응용 ..


기술에 대한 전통적 관념의 문제점

-현대 과학에서는 상호 침투가 흔함.

-과학과 기술은 개념상으로 구분 가능, 현상적으로는 구분 불가능

-각각의 본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그것을 수행하는 사람, 그들의 활동, 지식의 체계를 고려해야함

-기초과학 연구 결과가 새로운 응용연구의 방향제시 가능, 새로운 응용과학이 기술프로젝트를 탄생시킬 수도 있음.

-유용성이 아니라, 호기심과 상상력도 기술자들의 동기가 될 수 있음.ex)장론을 이용한 모터 효율을 분석한 맥스웰 논문

-과학의 대상도 인간이 만든 자연, 기술의 인공도 자연의 연장으로서의 인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