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합리성 1
전통적 과학상
-과학과 과학자 집단에 대해서 갖는 이미지는 무엇보다도 그것이 합리적이란 것
-올바른목표 : 과학적 탐구가 어떤 가치있는 목표를 지향
-수단으로서의 방법 : 목표에 다가가도록 이끌어주는 합리적인 수단으로서의 방법
1)방법은 과학자들이 새로운 이론을 발견하는데 도움이 되는 발견의 논리를 포함
2)경쟁하는 이론들을 객관적으로 비교하고 평가하기 위한 테크닉 제공
3)발견된 이론들을 정당화하는 논리 제시
-정당화되는 방법론 : 방법론은 그 자체가 논리적으로 정당화 가능
-과학자들은 이 방법을 감정에 좌우되지 않고, 이해관계에 치우침없이 적용시켜 과학을 성장
전통적 과학상의 배경
-과학의 우월한 성취,과학적 지식의 성장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어떤 특권적인 방법이 있고, 그 방법을
공평무사하게 적용하는 집단이 있다고 가정할 수 밖에 없음
-20c 전반기의 과학철학자들은 이러한 이미지를 받아들임
-실제 과학이 그 이미지에 일치한다는 가정아래서 과학의 이론과 방법을 분석하고 재구성함.
-논리실증주의와 포퍼의 과학은 이러한 노력의 성과
-과학의 합리적 이미지에 대한 압도적인 인정은 근대이후 과학, 특히 물리학의 위대한 성공으로부터 비롯됨
전통적 견해1: 귀납주의
-귀납주의: 과학은 귀납적 방법을 따른다는 생각
-귀납주의의 방법론 :
1)관찰과 실험, 2) 귀납적 일반화, 3) 가설에 대한 검증의 시도, 4)증명 혹은 반증, 5)지식
-귀납주의에서 과학적 합리성의 소재:
1) 과학은 관찰이라는 의심할 수 없는 토대를 가짐
2) 과학은 관찰된 특수한 사례로부터 보편적인 법칙을 일반화하는 귀납이라는 정당한 방법을 가짐
3)과학의 설명과 예측은 연역법에 의해서 보증되는 논리적 구조를 가짐
-귀납주의 비판 : 귀납원리가 논리적으로나 경험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음. 과학이 귀납에 근거하고 있다는 사실을 부정하는 방향으로 취하게 됨
전통적 견해 1: 포퍼의 비판적 방법론
-포퍼의 방법론 : 1) 문제 2) 제한된 해결, 새로운 가설의 창안 3) 새로운 가설로부터의 테스트 가능한 명제의 연역,
4)테스트 : 관찰과 실험에 의한 반박의 시도, 5)경쟁하는 이론들 사이에서의 선택
-시행착오의 방법,오류제거의방법,추측과 반박의 방법 : 이론을 테스트하고,전복시키는 부정적인 방법.
-고전적 연역논리, 즉 후건 부정식에 의해서 합리성 보증
-방법론적 규칙을 따르는 과학적 방법에 의해서 보증됨 : 주어진 이론체계의 테스트가능성이나 반박가능성을
약화시키거나 제거할 목적으로 제안되는 임시변통적 가설이 허용되어서는 안된다는 방법론적 규칙을 제시
-이론변화의 합리성 : 이론선택에 있어서 절차의 합리성
-과학의 합리성은 곧 방법의 합리성,방법의 합리성은 곧 논리성
'University > 과학기술과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이론의 존재론적 성격 (0) | 2015.10.15 |
---|---|
과학의 합리성2 (0) | 2015.10.15 |
토마스 쿤 (0) | 2015.10.15 |
이론이 적재된 관찰 (0) | 2015.10.15 |
과학적 논증과 방법 (0) | 2015.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