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마케팅 직무2

반응형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마케팅의 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 그 역할과 기능이 너무 중대해서 마케팅 부서에만 맡길 수 없는 것이 마케팅이다."  

 

- David Packard (HP 창립자. 그 유명한 휴렛팩커드의 패커드가 이 분이시다 ^^) -

 

오늘은 마케팅 부서에 일하기 위한 역량에 대해 논해 보겠다.

 

 

□ 필요 지식

 - 마케팅에 대한 기본이해를 바탕으로 담당하게 될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이해와 열정이 필수적이다.

 - 마케팅학: 마케팅 관리,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소비자행동론, 광고론, 마케팅조사론, 브랜드 및 고객 관리

 - 전략: 경영전략, 마케팅 전략

 

※  가장 중요한 실무지식은 "마케팅 전략 수립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 제 1단계 : 경쟁환경 분석 (외부환경/내부환경 분석을 활용한 사업기회 탐색과 창출 [PEST, SWOT 활용])

 - 제 2단계 : 실행전략 수립 (STP와 4P 마케팅 믹스를 활용한 실행전략 수립)

 - 제 3단계:  운영계획 수립 (조직화 / 일정화 / 예산화, 사업성 분석)

 

☞ Tip, '마케팅 전략 수립 프로세스'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다면, 마케팅 부서에 최적화 됨은 물론,

            마케팅 직무와는 별도로, 모든 구직자들이 PT면접에서 놀라운 Skill을 보여줄 수 있다.

            (추후 기회가 될 때 이 부분에 대한 별도 강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 필요 기술

 -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자료분석을 기본으로 전략 수립 방법, 수립된 전략을 내/외부 고객에게 설득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 스킬을 갖춰야 한다.

 - 통계학을 기본으로 한 자료분석 방법(회귀분석, 시계열 분석 등)과 통계프로그램(SPSS, SAS등) 활용 능력을

   보유한다면 신입사원으로서 가장 많이 접하게 될 자료수집 및 분석업무 수행에서 제 역할을 해낼 수 있다.

 

☞ Tip, 신입사원이 직접 프레젠테이션을 할 기회는 많지 않다. 하지만, 자료분석과 작성은 Main Job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SPSS 활용능력 하나만 가지고 있어도, 굉장히 매력적인 신입사원으로 어필이 가능하다.

           그런데, 통계학도들조차 이러한 자신들의 무기를 모르고 있다니 안타까울 뿐이다.

 

 

□ 필요기능 역량

 - 마케터는 전사적인 차원에서 업무를 수행해야 하고, 내외부 고객을 모두 상대해야하므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바탕으로한 친화력을 통해 협력을 얻고 정보를 얻어내야 한다. 또한 고객의 요구나 트렌드를 발빠르게 파악하기 위해서

   고객중심의 사고를 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개척자 정신을 바탕으로한 열정과 추진력이 필요하다.

 - CMO(Chief Marketing Officer)가 갖춰야 할 필수적인 7가지 DNAs

   ⓐ 고객중심적 사고

   ⓑ 디지털의 이해와 적용

   ⓒ 경쟁적 전략 수립 능력

   ⓓ 강력한 업무 추진력

   ⓔ 적극적인 브랜드 대변자

   ⓕ 비전을 가진 리더십

   ⓖ 부서간 업무 조정과 커뮤니케이션 역량

 

□ 필요 자격증(절대 자격증을 위한 자격증을 따지 말아야 한다. 참조용으로만 볼것)

 - 사회조사분석사(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주관): 마케팅 조사와 분석에 도움

 - 유통관리사(대한상공회의소 주관): 4P중 Place

 - 국제마케팅자격증(한국방송광고공사): 국가자격증 아님

 

□ 공모전

 - 공모전 관련 홈페이지: 씽크굿 마케팅 관련 커뮤니티, SERI 포럼 마케팅 관련 연구회

 - 교육: 몇몇 기업에서 마케팅 아카데미를 진행하기도 한다. (KT&G 마케팅 교육)

 

☞ Tip, 마케팅 직무야 말로 공모전이 중요한 분야이다. 왜냐하면 직접 자료조사를 할 수 있고, PT발표까지 도전해 볼 수 있다.

           꼭 입상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관련 Activity를 자소서에 언급할 수 있다. 특히 Target이 동종업계에 있다면 금상첨화다.

           마케팅의 경우 개인적으로 자격증보다는 공모전을 적극 추천한다.

 

 

□ 기 타

 - 모든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검색할 수 있는 시대이지만, 가장 고급정보는 인맥, 즉 사람을 통한 정보이므로 네트워크를

   잘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장 유명한 마케팅 네트워크로는 SERI 포럼 마사모(마케팅을 사랑하는 모임)가 있고,

   각 포털에서도 마케팅 관련 커뮤니티나 동호회가 있다.

 

☞ Tip, '혹시 이럴지도 모르지 않을까?' 모임에 나갔는데 내가 꼭 가고싶은 기업의 마케팅 팀장님이 참석 한다.

             필자 선배의 실화이다. 적극 추진하기 바란다.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마케팅의 한 정의는 아래와 같다.

 

" 그 역할과 기능이 너무 중대해서 마케팅 부서에만 맡길 수 없는 것이 마케팅이다."  

 

- David Packard (HP 창립자. 그 유명한 휴렛팩커드의 패커드가 이 분이시다 ^^) -

 

오늘은 마케팅 부서에 일하기 위한 역량에 대해 논해 보겠다.

 

 

□ 필요 지식

 - 마케팅에 대한 기본이해를 바탕으로 담당하게 될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이해와 열정이 필수적이다.

 - 마케팅학: 마케팅 관리,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소비자행동론, 광고론, 마케팅조사론, 브랜드 및 고객 관리

 - 전략: 경영전략, 마케팅 전략

 

※  가장 중요한 실무지식은 "마케팅 전략 수립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 제 1단계 : 경쟁환경 분석 (외부환경/내부환경 분석을 활용한 사업기회 탐색과 창출 [PEST, SWOT 활용])

 - 제 2단계 : 실행전략 수립 (STP와 4P 마케팅 믹스를 활용한 실행전략 수립)

 - 제 3단계:  운영계획 수립 (조직화 / 일정화 / 예산화, 사업성 분석)

 

☞ Tip, '마케팅 전략 수립 프로세스'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다면, 마케팅 부서에 최적화 됨은 물론,

            마케팅 직무와는 별도로, 모든 구직자들이 PT면접에서 놀라운 Skill을 보여줄 수 있다.

            (추후 기회가 될 때 이 부분에 대한 별도 강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 필요 기술

 -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자료분석을 기본으로 전략 수립 방법, 수립된 전략을 내/외부 고객에게 설득하기 위한

   프레젠테이션 스킬을 갖춰야 한다.

 - 통계학을 기본으로 한 자료분석 방법(회귀분석, 시계열 분석 등)과 통계프로그램(SPSS, SAS등) 활용 능력을

   보유한다면 신입사원으로서 가장 많이 접하게 될 자료수집 및 분석업무 수행에서 제 역할을 해낼 수 있다.

 

☞ Tip, 신입사원이 직접 프레젠테이션을 할 기회는 많지 않다. 하지만, 자료분석과 작성은 Main Job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SPSS 활용능력 하나만 가지고 있어도, 굉장히 매력적인 신입사원으로 어필이 가능하다.

           그런데, 통계학도들조차 이러한 자신들의 무기를 모르고 있다니 안타까울 뿐이다.

 

 

□ 필요기능 역량

 - 마케터는 전사적인 차원에서 업무를 수행해야 하고, 내외부 고객을 모두 상대해야하므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바탕으로한 친화력을 통해 협력을 얻고 정보를 얻어내야 한다. 또한 고객의 요구나 트렌드를 발빠르게 파악하기 위해서

   고객중심의 사고를 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개척자 정신을 바탕으로한 열정과 추진력이 필요하다.

 - CMO(Chief Marketing Officer)가 갖춰야 할 필수적인 7가지 DNAs

   ⓐ 고객중심적 사고

   ⓑ 디지털의 이해와 적용

   ⓒ 경쟁적 전략 수립 능력

   ⓓ 강력한 업무 추진력

   ⓔ 적극적인 브랜드 대변자

   ⓕ 비전을 가진 리더십

   ⓖ 부서간 업무 조정과 커뮤니케이션 역량

 

□ 필요 자격증(절대 자격증을 위한 자격증을 따지 말아야 한다. 참조용으로만 볼것)

 - 사회조사분석사(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주관): 마케팅 조사와 분석에 도움

 - 유통관리사(대한상공회의소 주관): 4P중 Place

 - 국제마케팅자격증(한국방송광고공사): 국가자격증 아님

 

□ 공모전

 - 공모전 관련 홈페이지: 씽크굿 마케팅 관련 커뮤니티, SERI 포럼 마케팅 관련 연구회

 - 교육: 몇몇 기업에서 마케팅 아카데미를 진행하기도 한다. (KT&G 마케팅 교육)

 

☞ Tip, 마케팅 직무야 말로 공모전이 중요한 분야이다. 왜냐하면 직접 자료조사를 할 수 있고, PT발표까지 도전해 볼 수 있다.

           꼭 입상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관련 Activity를 자소서에 언급할 수 있다. 특히 Target이 동종업계에 있다면 금상첨화다.

           마케팅의 경우 개인적으로 자격증보다는 공모전을 적극 추천한다.

 

 

□ 기 타

 - 모든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검색할 수 있는 시대이지만, 가장 고급정보는 인맥, 즉 사람을 통한 정보이므로 네트워크를

   잘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장 유명한 마케팅 네트워크로는 SERI 포럼 마사모(마케팅을 사랑하는 모임)가 있고,

   각 포털에서도 마케팅 관련 커뮤니티나 동호회가 있다.

 

☞ Tip, '혹시 이럴지도 모르지 않을까?' 모임에 나갔는데 내가 꼭 가고싶은 기업의 마케팅 팀장님이 참석 한다.

             필자 선배의 실화이다. 적극 추진하기 바란다.


[출처] 홍기찬의 직무 뽀개기 - 마케팅 제 2탄 (위포트학원(윈스펙)) |작성자 홍기찬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9712 문자 DCB_ASSOCIATION 결제  (0) 2015.11.12
애드센스 상단에 광고 두개 배치방법  (0) 2015.10.20
블로그로 돈벌기 애드센스!!  (0) 2015.10.17
마케팅 직무 3  (0) 2015.10.15
마케팅 직무1  (0) 2015.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