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niversity /세계영화

영화 사이코

반응형

<사이코>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대표작

-남녀 관계의 불가능성,모성에 짓눌린 남성의 자아,인간의 분열증적인 심리, 돈문제


이 영화에서 운명적으로 묶어주는 "손"을 클로즈업한 것은 이후 많은 영화에서 차용

<이창> 관음증이라는 고유한 인간의 본성을 형상화. 건너편 아파트 사람의 일상을 훔쳐봄.


카메라 시선을 중심으로 <사이코> 감상하기

샤워중 물이 배수구로 빠져나가는 이미지 -> 마리온의 차가 늪에 빠짐


<사이코>

노먼 베이츠는 새 뿐만 아니라 자신의 어머니까지도 박제함

마리온과 샘의 연인 관계는 지속되지 못함

카메라 시선의 한계&극복&유희

<39계단> 남녀 주인공(해니,파멜라)이 적대적인 고나계를 극복하고 연인 관계가 됨

<이창> 영화의 본질에 대한 탐구를 게을리 하지 않음


카메라에 의해 스크린에 비친 이미지


1.카메라에 의해 스크린에 비친 이미지는 단면적.

우리의 시야는 사각의 프레임 밖으로는 미치지 못함.

마리온이 옷을 갈아입는 모습을 벽의 구멍을 통해 볼때 드러남!

노먼베이츠는 마리온이 구멍 범위를 벗어날때 더이상 아무것도 볼수없다. 

은밀한 훔쳐보기의 매력.

2.카메라시선의 한계. 노먼 베이츠의 내면에는 어머니의 자아와 자신의 자아가 갈등하지만

 카메라는 그 중 한면만을 보여준다.

마리온이 모텔에 처음 도착했을 떄, 마리온의 연인인 샘과 마리온의 동생이 왔을때 , 

사설탐정이 찾아왔을때 모두 노먼 베이츠는 한번도 거울에 반사 되지 않음

BUT!!!!! 노먼베이츠와 대화하는 다른사람들은 모두 거울에 비침.

이 쇼트들에서 카메라는 노먼에 대해서는 자신의 시야를 제한하지만 

다른 인물에 대해서는 이를 확산시킨다.


역동적인 이유! 

카메라 밖 이미지

나머지 인물에 대해서는 모두 알지만 핵심 인물인 노먼에 대해서는 정반대의 측면을 보지못한다.


중요장면 

카메라의 두 시선을 하나의 쇼트에서 동시에 보여줌(알사람만 알고 모르는사람은 지나칠 것)

관객을 이러한 게임으로 끌어들인다.

<사이코>에서 중요한 영화의 미학적인 사항은 카메라 시선을 어떻게 확장시키는가에 있음.


문제!

영화<사이코>의 중요한 형식상의 특징 : 카메라 시선의 한계극복

<사이코>의 주인공인 노먼베이츠의 또다른 자아 : 그의 어머니

<사이코>에서 관음증적인 주제가 가장 부각되는 장면 : 노먼베이츠가 마리온이 샤워하는 것을 훔쳐보는 장면

반응형

'University > 세계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본 얼티메이텀  (0) 2015.10.15
영화 천일의 스캔들  (0) 2015.10.15
영화 300  (0) 2015.10.15
영화 천사에게 보내는 편지  (0) 2015.10.15
영화 아빠와 함께  (0) 2015.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