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에 대한 강박감으로부터 동시대의 현실로,<아빠와 함께>
중앙아시아의 영화사
-과거 역사의 경험을 어떤식으로든지 성찰하고 형상화, 동시대의 문제까지 포괄 : 미지의 노선
-자유로운 영화의 미학적인 표현 형식과 주제를 실험적으로 다룸 : 아빠와 함께,A라는 도시에서
카자흐스탄 :
지난6년간 제작된 영화의 절반 이상이 국제영화제에 참가
1980후반 모스크바국립영화학교출신의 영화 감독들 영화 제작 활발
'카자흐스탄 뉴웨이브'
발생지 : 알마아타,삶에대한 새로운 인식 제시, 프랑스 누벨바그운동 에서 유래
2008년 전주국제영화소개
바늘 vs 카이라트
바늘(소비에트 시대이후전혀다른시기가 도달. 새로운영웅출현)
카이라트*시대의변화에 대해 두려움을 갖는 젊은이들의 당혹감)
<아빠와 함께>
동시대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다룸, 결손 가정의 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묘사,
진부할 수 이쓴 작품의 서사가 감동적으로 다가옴,기존의 가족을 대체하는 새로운 가족의 형성
주인공 : 바이살과 그의 부모
부모는 이혼한 상태, 아빠와 함께 살며 이따금 엄마를 만남
재혼한 엄마는 알콜 중독자인 남편에게 폭행을 당하며 살고있음
서사가 주로 소년의 시점으로 전개되지만 아버지의 시점이 때때로 개입됨.
=> 소년과 아빠의 삶에 관심을 둔 작품
부모의 이혼에도 불구하고 낙천성을 잃지 않는 쾌활한 성격의 소년
주인공이 주변 상황을 가장 잘 알고 있으며 정확한 판단을 내린다.
아빠와 함께 살고 있고, 같은 마을에 살고 있는 엄마를 수시로 만남, 전직 교장선생의 은밀한 여성관계도 알고있음
경제적으로 풍요롭지 않음,일상에서 겪는 사소한 문제들로 인해 고통을 받음
관객들은 그가 이혼한 부모로 인해 고통받는 에피소드가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를 하지만 이를 배반함
소년의 고통조차도 유머스럽게 표현,낙관적 전망
소년이 아빠와 함께 부자관계를 넘어서서 동반자적인 관계로서 삶을 살아간다는 점 시사
바이살이 새 남편에게 폭행당하는 엄마 목격 -> 아버지가 구조요청 -> 아버지가 찾아감 ->but 어머니의 아버지 대한 원망 -> 식기를 집어던져 아버지의 이마에 피가남 -> 아빠와 함께 새로운 형태의 가족을 이루며 살아야함을 이해
바이살의 아빠는 두번 피흘림
-엄마가 던진 식기로 인한 씁쓸한 상처- 더이상 재결합 희망 X
-아들인 바이살과 권투하다 흘린 피 - 아들과 동반자적 삶
바이살과 카림의 유대관계 : 아빠가 엄마와 재 결합 X
다른 여인과 새로운 관계 맺치 못함.
-미모의 동네 꽃집 여종업원 흠모
-그녀는 술에취해 찾아온 그를 박대
-아빠는술에 취해 낯선 여자 데리고 옴
-바이살은 그러한 상황도 담담히 맞이함
바이살과 카림의 동반자적 관계 => 요리!
카메라: 유쾌하게 표현
눈이 오는 밤길을 함께 걸어가는 바이살과 카심을 위에서 비춤
옆건물의 창문을 통해 노래 부르며 파티를 열고있는 소녀들을 비춤
=>평탄하지만은 않을 이들의 미래에낙관적 전망
화면에는 엔딩크레딧외에 아무것도 보이지않고 부자의노래만들려옴
=> 이들의 모습이 동시대 카자흐스탄 사회의 일부분임을 말해줌
다이나르 살라맛 감독 - 기족 가족관계의해체와 새로운가족의형성
=> 세계 영화사에서 보편성을 획득할수있는 가능성
1990 카자흐스탄 영화의 부흥기를 일컫는 용어 : 카자흐스탄 뉴웨이브
카자흐스탄과 더불어 중앙아시아에서 영화 산업이 가장 활발한 나라 : 우즈베키스탄
아빠와 함께의 가장 중요한 주제 : 새로운 가족 형태
'University > 세계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300 (0) | 2015.10.15 |
---|---|
영화 천사에게 보내는 편지 (0) | 2015.10.15 |
영화 스탈린의 선물 (0) | 2015.10.15 |
영화 무명병사의 빛나는 군화 (0) | 2015.10.15 |
영화 지하수로 (0) | 2015.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