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카니발적 공간과 역사적 공간의 교차,<무명 병사의 빛나는 군화>
무명 병사의 빛나는 군화
-불가리아의 민속 전통을 잘 보여줌
-화자의 어린 소년의 회고와 상상이 결합된 신비스러운 분위기
-일종의 죄의식에서 이 영화를 만들었으며 그 죄의식은 조상들에 대한 것.
화자의 어린시절에 대한 회상은 이중적이기도 함
어린시절에 겪었던 전쟁과 이모의 결혼식에대해 회고와 동시에, 할머니에 들었던 전쟁에 대한 회고도 함
자신이 겪었던 일과 자신의 전세대의 경험을 모두 담고 있음.
이모의 결혼식 : (불가리아의 전통의식) 복잡한 심격
전쟁 : 화자 및 화자의 선조들이 겪었던 전쟁장면,외세의 침략에 시달림
일상적 공간과 카니발적 공간의 교체
'결혼식'카니발적인 시공간 <-교차-> '전쟁'역사적 시공간
모두 카니발적 속성을 포함하고 있으나, 유쾌한 민중문화의 특징을 본질로한 카니발적 공간은 :결혼식에 어울림
->영화의 표면적인 서사에서는 알아챌 수 없는 또 다른 특징 포착 가능.
일반적 결혼식 : 사회의 위계질서를 기반으로 한 공식적인 제도로의 편입
민중들을 위한 축제의 시공간 = 일상적 좌표가 교체되는 축제의 시공간
화자의 이모 결혼식 거행순간 마을의 공간은 카니발적 시공간으로 전환.
남녀의 차이가 없어짐, 일상생활에서의 힘겨운 노동->풍년을 기원하는 동요로 바뀜
일상적이고 공식적인 시공간에서 존칭을 사용해야하는 반면, 반말을 사용 - > 분노보단 친근감으로 상대방에게 느껴짐
-탄생과 죽음의 공존. 흥겨운 결혼식 와중에 비극적 살인사건이 일어졌음에도 축제가 중단되지 않음
죽음이 일상적이고 공식적인것이 아니라 카니발적 시각에서 일어났고, 축제는 그것이 끝나는 시점까지 계속되야함.
새로운 탄생을 의미하는 결혼식에서 죽음을 대하는 마을사람들의 태도는 공식적으로는 비도덕적이지만, 카니발적시공간에서는 허용됨.
즉, 모네가 이모의 결혼식을 회상하는 장면은 자신의 조상에게 바치는 죄의이기도 함.
카니발적 시공간끝나고 일상생활의 좌표로 돌아옴.
꿈에서 깨니 화재로 많은 사람들 사망,앞서 카니발적시공간과 대조.
전쟁 : 지극히 역사적이고 현실적. 화자의 상상->'화자의 할머니' 누구보다 앞장섬
전쟁이 과장되고, 유머러스하게 느껴짐 영웅을 군인이 아닌 평범한 민중으로 묘사함으로서 정서적 효과를 증대
소년 모네의 꿈 => 빛나는 군화를 신은 병사가 되고 싶은 꿈.
<문제>
청각적 묘사의 대상 : 불가리아 전통 민요
빛나는 군화가 의미하는 것 : 소년 모네의 꿈
전쟁에서 가장 영웅적인 모습으로 등장하는 인물 : 주인공의 할머니
'University > 세계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아빠와 함께 (0) | 2015.10.15 |
---|---|
영화 스탈린의 선물 (0) | 2015.10.15 |
영화 지하수로 (0) | 2015.10.15 |
영화 그때 거기 있었습니까? (0) | 2015.10.15 |
화성에서온 밀라 (0) | 2015.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