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niversity /세계영화

영화 스탈린의 선물

반응형

<<스탈린의 선물>>

카자흐스탄의 한 마을이 스탈린 폭압 정권에의해 파괴

역사적 비극으로 인한 상처조차도 현재 신생 독릭국가의 기반

강제이주에 따른 다민족 국가로서 자신의 정체성확립에 대한 문제제기


성인이 된 화자의 회상으로 시작! 회상은 스탈린의 지시에 의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송되는 사람을 묘사

주인공 소년 사슈카 가카자흐스탄에 도착해 적응한 이후.

카심이라는 노인을 만나 유사가족을 이루고 난후 겪는 비극적 사건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실행된 대규모의 핵실험.

핵실험이라는 역사적 비극은 베라의 결혼식에서 지역 경찰과의 다툼끝에 신랑인 돔브로프스키가 사망할때 이미예고.

스탈린의 생일을 위한 공연할 때 창백한 얼굴로 공연 관람하는 베라의 모습 부각 -> 그 이후 닥치는 거대한 핵실험의 여파는 천진난만한 아이들의 모습, 닥쳐올 비극을 예감하지 못하는 마을 주민의 모습, 삶의 의욕을 상실한 베라의 모습과 중첩 -> 비극 배가

이러한 비극이 민족 간의 화해로 연결되는 시점 : 성인이 된 주인공이 카심할아버지를 비롯한 희생자의 무덤 찾아왔을 때.


사슈카, 카심, 베르카, 돔브로프스키

-갑작스럽게 등장한 사슈카를 따뜻하게 맞이함

->카자흐스탄이 다민족 국가

-각기다른 민족 출신인 등장인물*극적이고 비극적인 개인사간직

->소비에트 연방과 중앙아시아에 관련된 현대사의 주요사건 요약


카심 : 침묵

사슈카 : 눈을 감아버림

베르카 : 종교적 믿음과 신앙의 상징.

지역경찰에게는 성적 욕망의대상 - 성모마리아와 막달라 마리아의 형상 모두 지님.

방해자 역할 : 외부인이 아닌, 지역 경찰( 스탈린의 대리인, 공격자,침략자)


권력 상징 지역경찰 vs 베라와 카심

카심 :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는 현자

베라 : 저항. 몸은주지만 정신을 주진않는다. 신앙과 신의존재. 신앙이 흔들렸던 유일한 때 ㅡ 돔브로프스키 사망

풍요롭고 비옥한 어머니, 대지의 형상

돔브로프스키:  자연이 가지고 있는 치유력 대행


중앙아시아 영화 " 자연과" 불가분의 관계 영화의주제효과적

스탈린의 선물: 중앙아시아 영화의 전통을 충실히 계승 


자연과 인물이 조화 : 강제 이주로 인한 굴곡의 역사화 비극조차도 포용. 자연의 포용력 . 



순탄치만은 않았던 과거회상 =>개인의 삶과 역사의 진행에 대한 성찰


<스탈린의 선물>주제에 해당하는 것 : 중앙아시아의 자연, 개인과 폭압적 권력의 대립,가족의 테마

<스탈린의 선물>의 배경이 되는 역사적 사건은? 스탈린의 핵실험

<스탈린의 선물>에서 두 마리아의 상반된 이미지를 지니고 있는 인물 : 베르카

반응형

'University > 세계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천사에게 보내는 편지  (0) 2015.10.15
영화 아빠와 함께  (0) 2015.10.15
영화 무명병사의 빛나는 군화  (0) 2015.10.15
영화 지하수로  (0) 2015.10.15
영화 그때 거기 있었습니까?  (0) 2015.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