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학파의 특징
다큐멘터리 : 삶의 부정적인 측면에서도 주목 -> 현실 문제에 대해 직접적 묘사 시작
대표작가 : 바이다,카발레로비치,뭉크
-세계에 대한 비관적인 시선,개별인간에 대한 지대한 관심,삶의 고통에 대한 자연주의적 묘사
"전쟁" 즉 2차 대전의 비극 이해, 정치적인 검열의 제한으로 인해 직접적 표현 불가 ->비유와 상징(비유적 몽타주 재현)
<재와 다이아몬드>
동명의 원작 소설 중 국내군(ak)의 일원인 마첵 헬미츠키에 대한 이야기
"마첵 헬미츠키"는 무모할정도로 과감한 행동을 할 준비가 되어있음, 행위의 목적과 의미에 대해서 숙고하지 않는 폴란드 민족의 영웅
마첵 : 용감,단호 영웅적,예민 공산주의자 슈카를 살해하라는 명을 받지만 다른인물 살해
새로운 시대로 향하는 올바른 길을 모색하기 어려운 인물이지만 관객들은
마첵에게서 단호한 외면뒤에 숨겨진 외면, 삶에대한 낭만적 욕구같은 시대적 특성에 부합되는 매력 발견
이성이 아닌 충동과 감성에 의해 행동하는 타입
내부에서 다양한감정 투쟁(살인 회피심정,상부명령 수행하지않으면 자부심 회손)...
슈카 : 마책과 대비, 진중한 모습, 커다란 손,가지런한머리...외적특징이 그의 성격 나타냄
but 관객들은 마첵을 영화의 중심인물로 간주
결말 : 복합적인부분 내포, 마첵의 총을 맞은 슈까는 무의식중에 마책의 품에 안김
동료가 될수도 있고, 같이 투쟁할수도 있다는 이중적 의미
흰빨래가 마책의 피에의해 검게 변함,서서히 죽어감. 처음엔 죽음이 낭만적이나 후엔 추해짐. 마첵의 복합적인 형상에대한 비유
좌 우익의 갈등을 하루라는 짧은 시간에 잘 나타낸 영화, 삶과 죽음, 새로운것과 낡은것에서전쟁, 인간에대한 깊은 성찰 포함
폴란드 학파의 주요 테마 : 전쟁
가장 서정적인 장면? : 마첵과 크리스티나의 사랑
'University > 세계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성에서온 밀라 (0) | 2015.10.15 |
---|---|
베로니카의 이중생활 (0) | 2015.10.15 |
알렉산더 소쿠로프 - 돌 (0) | 2015.10.15 |
러시아 해빙기 영화 (0) | 2015.10.15 |
카니발적 세계의 구현 (0) | 2015.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