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줄리앙 뒤비비에 감독의 안나카레니나의 원작자는? : 톨스토이
2. 안나카레니나에서 여중인공 역을 맡은 여배우는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여주인공. : 비비안리
<안나 카레니나>
-톨스토이 소설 원작
-한 여인의 비극적 사랑을 소재로 한 영화
-여러 차례 영화화됨, TV드라마로도 제작, 비비안리가 주연 맡음
감독: 줄리앙 뒤비비에
프랑스 영화감독
비교적 무난하게 원작의 주제를 영상화함
안나와 브론스키에서 위기를 부여하면서 각자의 심리를 노출시키는 방법 사용.
*안나의 위기
: 브론스키를 처음 만났을때, 경마장에서 브론스키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드러냇을 때, 유산했을 때, 아들인 세르게이를 더이상 보지 못하게 되었을때, 자살하기 직전.
*브론스키의 위기
: 경마장에서 안나와의 관계가 노출되었을때, 본인이 자살을 시도했을 때.
원작과는 달리 안나가 자살한 후에 브론스키가 취하는 태도를 생략
Q.과연 브론스키는 안나가 사랑할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인가?
안나 : 모든것을 희생하며 브론스키 사랑
브론스키 : 안나는 자기 인생의 일부
=> 안나의 헌신적 사랑을 받을 자격이 없다.
영화의 첫장면 :
안나의 오빠인 스치바의 간통장면 => 안나의 부정을 암시
스치바는 용서받는 반면, 안나는 용서 X
우리사회에 많은 간통이 있지만 안나의 경우는 허용 X.
*안나의 자살 : 사교계의 이러한 차별적 행위를 비난. 브론스키와 사교계 전체에 대한 보복이자 저항. 즉, 남편인 카레닌도 브론스키도 사교계 전체도 안나를 비난할 자격 X.
보통여자인 그녀가 공개적 스캔들을 불러일으켜서 비극적 운명을 맞이했다.
안나와 브론스키의 사랑=> 육체적 정력이 중심
레빈과 키치의 사랑 => 전원적인 생활에 근거한 정신적 사랑.
안나카레니나 => 러시아 상류사회의 특징 : 사교계, 무도회, 내연관계 = (톨스토이) 인간의 매력은 죽음
안나도 브론스키에게 보복할 자격이 없는 여인.
<안나 카레니나>브론스키가 위기를 맞이하는 장면 : 경마장 장면
<안나 카레니나>에서 안나의 부정을 미리 암시하는 장면 : 스치바의 간통 장면
안나와 브론스키의 육체적 사랑에 대비되는 정신적 사랑을 하는 남녀 인물은? 레빈과 키치
'University > 세계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400번의 구타 (0) | 2015.10.15 |
---|---|
영화 해변의 여인 (0) | 2015.10.15 |
영화 주말 (0) | 2015.10.15 |
영화 라탈랑트 (0) | 2015.10.15 |
영화 본 얼티메이텀 (0) | 2015.10.15 |